재귀 알고리즘
EightQuee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private boolean[] flag_a = new boolean[8]; // 각 행에 퀸을 배치했는지
private boolean[] flag_b = new boolean[15]; // 대각선에 퀸이 배치되었는지
private boolean[] flag_c = new boolean[15]; // 대각선에 퀸이 배치되었는지
private int[] pos = new int[8];
public void print()
{
for(int i = 0; i < 8; i++)
{
for(int j = 0; j < 8; j++)
{
if(pos[i] == j)
{
System.out.print("■" + " ");
}
else
{
System.out.print("□" + " ");
}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
}
public void set(int i)
{
for(int j = 0; j < 8; j++)
{
if(flag_a[j] == false &&
flag_b[i+j] == false &&
flag_c[i-j+7] == false)
{
pos[i] = j; // j행 i열 배치.
if(i == 7)
{
print();
}
else
{
flag_a[j] =
flag_b[i+j] =
flag_c[i-j+7] = true;
set(i+1);
flag_a[j] =
flag_b[i+j] =
flag_c[i-j+7] = false;
}
}
}
}
set() 부분이 재귀함수.
flag_b[i+j] = 우상향 대각선에 퀸이 배치 되었는지 체크
- 1행 1열의 대각선은 0행 2열, 2행 0열 이기 때문에 i+j 사용.
flag_c[i-j+7] = 우하향 대각선에 퀸이 배치 되었는지 체크
- 0행 0열의 대각선은 1행 1열 … 7행 7열이다. 따라서 i-j+7 사용.
set(i+1) 실행이 끝나면 퀸이 j행에서 제거되었기 때문에 flag[j]에는 아직 배치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기 위해 false를 대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