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유선 LAN, 무선 LAN
Post
Cancel

유선 LAN, 무선 LAN

유선 LAN

현재 유선 LAN 방식은 전이중화(full duplex) 방식이다.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등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유선 LAN을 이루는 이더넷은 IEEE802.3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이중화 통신을 사용한다.

전이중화 방식

양쪽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송신로와 수신로를 나누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CSMA/CD

이전에는 유선 LAN에 반이중화 통신 중 하나인 CSMA/CD 방식을 사용했다. 이 방식은 회선을 사용하는 지 파악한 후 사용하지 않는다면 데이터를 보내고 충돌이 발생한다면 일정 시간 이후 재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유선 LAN에 사용하는 케이블

트위스트페어 케이블

트위스트페어 케이블은 실드처리를 하지 않은 UTP, 실드처리를 한 STP 케이블로 나뉜다.

LAN 케이블

유선 LAN을 구축할 때 쓰이는 케이블인 LAN 케이블은 UTP 케이블 타입이다.

광섬유 케이블

레이저를 이용해 통신하며 보통 100Gbps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광섬유 케이블이라고 한다.

무선 LAN

무선 LAN은 반이중화 통신을 사용한다.

반이중화통신

양쪽 장치가 서로 통신할 수는 있지만 동시에는 할 수 없다. 한 번에 한 방향만 통신할 수 있는 방식이다.

CSMA/CA

반이중화 통신 중 하나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일련의 과정을 기반으로 사전에 가능한 충돌을 방지하는 방식을 말한다.

  1. 사용중인 채널이 있다면 다른 채널을 감지하다 유후 상태인 채널을 발견한다.
  2. 프레임 간 공간 시간인 IFS 시간만큼 기다린다. IFS가 낮으면 우선순위가 높다.
  3. 프레임을 보내기 전 0 ~ 2^k - 1 사이에서 결정된 랜덤 상수를 기반으로 결정된 시간만큼 기다린 뒤 프레임을 보낸다. 프레임을 보낸 뒤 제대로 송신이 되었고 ACK 세그먼트를 받았다면 마치게 된다. 받지 못했을 경우 k = k+1 을 하며 이 과정을 반복하며, k가 정해진 Kmax을 넘는다면 해당 프레임 전송은 폐기된다.

와이파이

와이파이는 전자기기들이 무선 LAN 신호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근거리 무선망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근거리 무선망은 블루투스, 지그비 등이 있기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틀린 말이다.

와이파이는 보통 유선 LAN을 AP 또는 공유기에 꽂아서 무선 LAN 신호를 만들어 구축한다.

주파수 그리고 2.4 GHz와 5 GHz의 차이

무선 LAN은 무선 신호 전달 방식을 이용해 2대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다.

비유도 매체인 공기에 주파수를 쏘아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 주파수의 대역은 2.4 Ghz 또는 5 GHz 대역 중 하나를 사용해 구축하게 된다.

  • 2.4 GHz
    • 장애물에 강하나 속도가 더 느리다.
    • 호환성이 좋다. (오래된 노트북, 휴대폰과도 연결 가능하다.)
    • 커버리지가 넓다.
  • 5 GHz
    • 장애물이 있을 때 연결이 끊기기도 하지만 속도가 빠르다.
    • 호환성이 낮다.
    • 커버리지가 작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